“가을이면 황금빛으로 물드는 마을의 수호목”… 800년 세월의 은행나무

[800년 세월을 품은 마을의 수호목,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

가을이 오면 인천 남동구 장수동 마을 입구는 황금빛으로 물든다. 그 한가운데, 800년 동안 같은 자리를 지켜온 거대한 은행나무 한 그루가 우뚝 서 있다. 높이 약 30m, 둘레 8.6m에 이르는 이 나무는 소래산 자락에서도 한눈에 들어올 만큼 웅장하며, 오랜 세월 마을의 안녕을 지켜온 수호목으로 불린다.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
사진 = 대한민국구석구석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
사진 = 한국관광공사(열린관광서포터즈)


장수동 은행나무는 1992년 인천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된 뒤, 2021년에는 천연기념물로 승격되었다. 나무의 생물학적 가치뿐 아니라, 마을 공동체의 신앙과 전통이 깃든 민속적 상징물로서의 의미가 크다. 천 년 가까운 세월 동안 수많은 계절을 견뎌온 이 나무는 그 자체로 한 시대의 역사이자 문화유산이다.

넓게 퍼진 가지가 사방으로 하늘을 감싸듯 뻗어 있고, 그 아래에 서면 마치 거대한 돔 속에 들어선 듯한 기분이 든다. 굵은 나무줄기에는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새겨져 있고, 잎사귀 하나하나가 햇살을 머금어 황금빛으로 반짝인다. 바람이 불 때마다 은행잎이 흩날리며, 마치 노란 비가 내리는 듯한 장면을 연출한다.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
사진 = 한국관광공사(열린관광서포터즈)


이 나무는 오랜 세월 동안 마을 사람들에게 신목(神木)으로 여겨졌다. 예로부터 마을에 질병이 돌거나 흉년이 들면 주민들이 나무 앞에 제를 올리고, 평안과 풍년을 기원했다고 전해진다. 지금도 음력 7월 초하루마다 마을 제사가 이어지며, 주민들은 옛 풍습을 소중히 지켜오고 있다.

장수동 은행나무에는 전해 내려오는 흥미로운 이야기도 있다. 옛날 이 나무에 깃든 신이 마을의 인재가 태어날 기운을 가져간 대신, 사람들에게는 장수의 복을 내렸다는 전설이다. 그래서 ‘장수동’이라는 지명 또한 이 나무에서 비롯되었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또 나무의 가지나 잎을 집으로 가져가면 복이 떠난다는 금기도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
사진 = 국가유산청


가을의 절정기에 이곳을 찾으면 은행잎이 발아래를 노랗게 덮고, 나무 위로 쏟아지는 햇살이 잎사귀 사이로 반짝인다. 오후 햇살이 기울 무렵, 긴 그림자가 들판 위로 드리워질 때면 그 풍경이 한 폭의 수묵화를 닮는다. 실제로 이곳을 찾은 여행객들은 “사진보다 실물이 훨씬 웅장하다”며 감탄을 아끼지 않는다.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
사진 = 한국관광공사(열린관광서포터즈)


마을의 오랜 시간과 사람들의 믿음, 그리고 자연의 생명력이 하나로 어우러진 장수동 은행나무. 그 아래에서 잠시 걸음을 멈추고 올려다보면, 800년의 세월이 고요히 흐르는 소리가 들릴 것이다.


[인천 가볼만한곳 - 여행테마별]

[대한민국 여행지도 by 힐링휴게소]
– 2025.10.03 Update

댓글 쓰기

이전 다음

Tools

Copy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