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가을여행 필수 코스, 전주향교]
가을빛이 깊어질수록 전주는 고즈넉한 정취로 물든다. 한옥마을에서 도보로 약 10분 거리, 은행나무와 단풍이 어우러진 ‘전주향교’는 그중에서도 가을의 전주를 가장 아름답게 보여주는 장소다.
조선시대 국립 교육기관으로 세워진 전주향교는 유학의 성현들에게 제사를 지내고 학문을 가르치던 공간이었다. 오늘날에는 그 고유한 건축미와 계절이 빚어내는 풍경 덕분에 여행객들에게 사랑받는 전주의 대표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았다.
![]() |
| 사진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박은숙 |
향교의 중심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대성전이 자리하고 있다. 효종 4년(1653년)에 중건된 이후 지금까지 옛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명륜당과 동·서무, 계성사 등이 질서정연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와지붕과 붉은 기둥, 나무문살이 조화를 이루는 건축미는 단정하면서도 웅장하다. 돌담길을 따라 걸으면 고요한 시간 속으로 들어온 듯한 착각마저 든다.
![]() |
| 사진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디엔에이스튜디오 |
이곳이 가장 빛나는 순간은 단연 가을이다. 향교 앞마당에는 400년이 넘은 은행나무 네 그루가 서 있는데, 11월이 되면 잎이 황금빛으로 물들어 경내 전체가 노란 물결로 변한다. 햇살이 은행잎 사이로 스며드는 오후 시간대에는 나무 아래가 마치 금빛 터널처럼 반짝이며, 발끝마다 낙엽이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계절의 고요함을 전한다.
![]() |
| 사진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강미선 |
이 장면은 여러 드라마와 영화의 배경으로도 등장했다. ‘성균관 스캔들’, ‘구르미 그린 달빛’, ‘왕의 남자’ 등이 이곳에서 촬영되며, 전주향교의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전국에 알렸다. 실제로 방문한 사람들 중 많은 이들이 “드라마보다 실제가 훨씬 더 아름답다”고 말할 만큼, 향교의 풍경은 사진으로 담기 어려운 깊이를 지니고 있다.
![]() |
| 사진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김지호 |
가장 아름다운 시간대는 오후 3시 무렵이다. 서쪽으로 기울어진 햇살이 대성전의 지붕과 은행나무를 비출 때, 마당 전체가 황금빛으로 물든다. 은행잎이 천천히 흩날리는 그 순간, 향교의 고요한 풍경은 그 자체로 한 폭의 그림이 된다.
2025년 올해는 11월 10일부터 20일 사이가 단풍 절정기로 예상된다. 전주 한옥마을과 함께 둘러보면, 전통과 자연이 어우러진 전주의 가을을 한눈에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
| 사진 = ⓒ한국관광공사 포토코리아-김지호 |




